차량정보
겨울철 차량 히터 TIP ! 빨리 따뜻해지는 방법은?
|
|||
본문![]() 시동걸자마자 히터를 켠다 vs 엔진온도가 어느정도 올라가면 히터를 켠다 어느쪽이신가요! 이건 마치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하는 것과 같은 인류의 오랜 논쟁거리가 아닐까 싶습니다. 오늘 이 논쟁을 잠재울 수 있는 간단한 팁을 설명드릴까 합니다. ![]() 일단 추운 겨울에 차에 타면 냉동실 뺨치는 한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. 특히 저 처럼 야외주차하시는 분들은 더더욱.. 대부분 차에 타자마자 시동을 걸고 열선시트, 열선핸들 등 난방장치를 풀가동하고.. 적당히 예열이 끝나면 출발하실겁니다. 여기까지 오케이!! 그럼 히터를 언제 켜는 것이 가장 효율적일까요?? ![]()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엔진온도가 오르지 않았어도 히터를 먼저 가동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! ![]() 그러면 이렇게 찬 바람이 나오겠죠..? ㅋㅋㅋㅋㅋ 가솔린, 디젤엔진과 같은 내연기관 차량은 주로 냉각수를 데워서 그 열로 따뜻한 바람을 공급하는데요 엔진이 가동되고 냉각수가 가열되기까지는 어느정도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따뜻한 바람이 바로 나오질 않습니다. ![]() (이미지 출처: ptc-heaters.com) 그럼에도 불구하고 히터를 빨리 켜는 것이 좋은 이유는 우리 자동차가 똑똑해졌기 때문입니다. 요즘 출시되는 차량에는 대부분 PTC라는 보조 히터옵션이 장착되어 있습니다. ![]() 이건 마치 열선시트와 비슷한 히팅 방식인데요 전기가열식 보조히터로 공기를 직접 가열해주는 방법입니다. 그리고 냉각수 온도가 올라가서 히터가 활성화되면 PTC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습니다. 놀라운 사실은 국산&수입 할 것 없이 이미 대부분 차량에 PTC가 적용되어 있다는 것.. 구형 산타페에도 있다고 하니 요즘 출시되는 어지간한 차량들은 다 해당되는거죠. PTC가 있는 차량들은 시동 직후 히터를 켰을 때 10분 내외로 따뜻한 바람이 나오기 시작합니다. 그러니까 굳이 엔진온도가 상승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, 그냥 바로 히터를 ON 하시면 됩니다. 초반에 찬바람이 너무 견디기 어렵다면 다리나 앞유리 방향으로 풍향을 바꿔놓으시길..헤헷 ![]() 또 다른 자동차 히팅방식에 대해서 TMI를 해보자면 프리히터(Pre-heater)가 있습니다. 주로 버스나 승합차와 같이 대형 차량에 많이 쓰이는 방식입니다. 운전병 시절 종종 겨울철에 버스를 운행을 하면 이렇게 넓은 실내 공간이 어떻게 빨리 따뜻해지나 궁금했습니다 ㅋ 바로 일반 차량의 히팅방식과 다른 프리히터 때문이었죠. ![]() 프리히터는 별도의 버너를 장착하여 차량에 사용되는 연료를 연소시켜서 강제로 냉각수 온도를 올려주는 방식입니다. 이거 정말 순식간에 따뜻해집니다 ㅎㅎ 약간 석유난로 켰을 때 처럼 훈훈해지구요. 아무쪼록 실내 공간이 넓은 대형 차량들은 연료를 소량 연소시키는 프리히터를 통해 더 효율적인 난방시스템을 사용합니다. 참 재밌죠? |